OCCUPATION ENVIRONMENTAL
MEDICINE CENTER의료인으로서의 책임과 의무를 다하겠습니다.
기원전 377년, 히포크라테스는 광부의 호흡곤란 증상과 기술했습니다.
17세기, 이탈리아의 Ramazzini는 '근로자의 질병'이라는 책을 썼습니다.
일하는 사람의 건강을 관리하는 직업의학은 이렇게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했고 산업화에 따라 직업의학도 발전해 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56년 탄광 광부의 규폐증의 발견을 시작으로,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2011년에는 '산업의학'으로 개칭하게 되었습니다.
직업의학은 제조업 같은 특정 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뿐 아니라, 일하는 모든 사람을 돌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1962년 세계를 뒤흔들었던 레이첼 카슨의 저서 '침묵의 봄'은 DDT등의 유기염소계 농약으로 인해 토양과 물같은 환경이 파괴되고, 결국 이로 인해 생물들의 개체수 감소 등 건강에 끼치는 악영향을 기술하였고 이는 환경운동이 시작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후 내분비교란물질, 미세먼지 등 환경에 편재한 유해인자나 새집증후군 같은 환경성 질환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부서명 | 성명 | 담당업무 |
특수건강진단팀 | 최성렬 | 특수건강진단 진찰 및 결과 판정, 유소견자 상담, 내부교육 외 |
신복금 | 특수건강진단 결과관리, 청력, 폐활량 검사 및 정도관리, 유소견자 관리 외 | |
서설화 | 특수건강진단 결과관리, 청력, 폐활량 검사 및 정도관리, 유소견자 관리 외 | |
황수빈 | 특수건강진단 사전조사, K2B 결과보고 및 국고청구, 2차 대상자 관리, 사업장 견적 담당 외 | |
김효빈 | 특수건강진단 사전조사, 사업장 결과발송, 내부교육 계획 수립 외 | |
간호팀 | 홍세현 | 신체계측, 폐활량 및 청력검사, 장비관리 외 |
진단검사실 | 김은영 | 진단의학검사 실무 및 장비관리 외 |
영상의학과 | 김영진 | 원내 흉부촬영 및 진폐정도관리, 장비관리 외 |